FE14 마크업 언어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다목적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란 태그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의 한 가지로서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메타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인터넷 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던 SGML에 인터넷 환경에 맞게 확장을 더한 것이 XML XML은 SGML의 파생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, HTML은 완전한 파생형은 아니지만 영향을 많이 받았다 DTD Document Type Definition 문서 형식 정의 SGML계열의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 형식을 정의하는 것 html 구조의 시작은 DTD로 시작해야 표준 - ex) DTD 이전에 가 있으면 비표준 SGML Standard Generalized Makeup Language 표준 .. 2023. 10. 27. Git Command 깃 최초 설정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닉네임 - 닉네임 중간에 공백이 있으면 " "로 묶기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이메일주소 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code --wait" - 디폴트 에디터를 vscode로 지정 git config --global core.pager cat - 터미널창에서 화면 안넘어가고 내용 출력 -> git log --oneline 등에서 Windows와 Mac OS의 공백문자(줄바꿈) (Carriage return, Lind Feed)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if true - windows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if in.. 2023. 10. 27. CLI (Command Line Interface) 1. 현재 작업중인 폴더 확인 pwd : print working directory 2. 폴더 생성 mkdir : make directory mkdir {디렉토리 이름} 3. 디렉토리 이동 cd : change directory cd {디렉토리 경로} • cd - 현재 디렉토리 • cd .. - 상위 경로로 한 단계 이동 • cd ../.. - 상위 경로로 두 단계 이동 • cd ~/Desktop - 데스크탑 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4. 디렉토리 및 파일 목록 출력 ls : list segments ls {옵션}{디렉토리 경로} • ls • ls -l • ls -a • ls -al 5. 파일 생성 touch : 빈 파일 생성 echo : 간단한 내용이 들어있는 파일 생성 • touch 파일명.확장자 • e.. 2023. 10. 25. Github로 협업하기 Clone 주소복사 // .git 포함 다운로드 ZIP 파일 // .git 제외 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/.git $ git checkout -b // 브랜치를 신규로 만들면서 위치가 바로 그 브랜치로 이동 $ git checkout // 브랜치 위치 이동 $ git merge // '메인 브랜치'에서 합칠 브랜치명을 기재하여 실행 Git GUI 를 설치해서 쓰면 편리하다 ( Graphic User Interface ) github Desktop fork sourcetree 등등 2023. 8. 7. Github에 소스 반영 1) $ git init // 초기화, .git 폴더 생성 2) $ ls -al // 생성된 폴더 및 파일 확인 3) $ git add . //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add 4) $ git status // add된 파일 확인 5) $ git commit -m "메세지" 6) $ git branch -M main 7) $ git log // 버전이 잘 저장되었는지 확인 github 로그인 후 new repository 만들기 8) $ git remote add origin 복사, 터미널에 입력 9) $ git remote -v //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 10) $ git push -u origin main // 처음 푸쉬에만 -u : set upstream $ git push // 이후 푸쉬할.. 2023. 8. 6. 로컬 Git 저장소 생성 $ git init : init 명령어로 초기화 -> .git 이라는 숨김폴더 생성 -> 소스 이력들이 이 폴더에 저장됨 프로젝트가 위치한 경로 잘 확인하고 터미널에서 명령 실행 .gitignore : 경로를 잘못 설정해도 민감정보가 추가되지 않도록 무시할 파일이름을 기록 github gitignore 템플릿 참고 $ git status : 현재 추적되고있는 파일, staging area에 들어있는 파일이 뭔지 확인하는 명령어 $ git add . :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add $ git add "" : 특정 파일만 add $ git commit -m "" : 커밋할 버전에대한 메세지 반드시 작성해야 함 로컬 저장소에 변동기록(버전)을 남기기 위해 커밋을 실행 하는 것 $ git branch -M m.. 2023. 8. 6. 이전 1 2 3 다음